인터넷의 발달은 셋톱박스를 넘어서,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스마트폰과 태블릿, 노트북 그리고 스마트TV로 보고 있는 OTT 시대를 살고 있다. 오늘은 대표적인 OTT인 네플릭스, 티빙, 디지니, 쿠팡플레이 등을 비교하며 OTT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한다.
OTT는 무엇인가?
OTT는 ‘Over the top / media service’의 약자이다. 여기에서 Top은 셋톱박스를 의미하는데, OTT를 직역하면, “셋톱박스를 넘어선다”로 이해할 수 있다. OTT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독립적인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기존 방송사나 케이블 TV 등을 거치지 않고도 인터넷만으로 다양한 영상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셋톱박스
셋톱박스(set-top box)는 TV 수신기와 인터넷, 케이블 등의 통신망을 연결하여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용으로 사용되며, IPTV나 케이블TV 등에서 이용된다.
셋톱박스는 TV에 연결되어 신호를 해석하고 화면에 출력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VOD(Video On Demand), DVR(Digital Video Recorder), 게임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등의 기능들이 있다.
OTT 비교, 네플릭스, 티빙, 디지니+, 쿠팡플레이
OTT서비스에 대표적인 예시로는 Netflix, Amazon Prime Video, Disney+, 등이 있다. 이러한 OTT서비스들은 구독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영화나 드라마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간편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일부 서비스에서는 오리지널 컨텐츠까지 제작하여 공개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OTT, 네플릭스, 티빙, 디지니+, 쿠팡 플레이
NETFLIX(OTT하면 네플릭스를 생각할 만큼 거대 기업이다.), 티빙(CJ ENM의 자회사, 네이버측에서도 지분을 갖고 있기에 네이버 맴버십을 이용할 때 무료, 이후 옵션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다루겠다.), 쿠팡 플레이(쿠팡 와우 회원이라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Disney+(디즈니 뿐만 아니라 마플, 스타워즈, 내셔널지오그래픽 등의 컨텐츠가 많다.) 들이 대표적이다.
OTT 전망
OTT는 특별한 하드웨어 설치 없이 모바일 기기나 PC등 어느 디바이스든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선택 받으며 미디어 업계 전체의 변화와 함께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방송을 볼 수 있기에 자신에게 필요한, 자신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도 지혜일 듯하다.
OTT는 인터넷의 발달로 나타난 형태이다. 셋톱박스가 없어도,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스마트 폰, 태블릿, 노트북, 그리고 스마트 TV를 통해 볼 수 있다. 이에 대표적인 OTT인 네플릭스, 티빙, 디지니+, 쿠팡플레이 등을 소개했다.
'알뜰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뱅크 모임통장, 모임원이 추가될 때마다 지원금을 주네요. (3) | 2023.09.25 |
---|---|
관계의 철학, 마틴 부버의 "나와 너(Ich und Du)" (4) | 2023.09.13 |
네이버 멤버십을 통한, 티빙 할인 방법 (1) | 2023.09.11 |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제, 구간과 시간 범칙금 총정리 (3) | 2023.09.07 |
손해사정사, 보험 계약법 법조문 총칙-2 (0) | 2023.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