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백제의 고도 공주시. 공주시는 도시 자체가 역사박물관이다. 금강을 따라 세워진 도시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공주. 오늘은 그중에서 백제시대에 축성되어 조선, 그리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이어지고 있는 아름다운 옛 성이 공산성이다. 백제의 고도 공주시 여행, 아름다운 옛성 공산성을 여행한다면, 꼭 봐야할 곳이 있다. 오늘은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백제의 토성과 조선의 석성을 모두 담고 있는 공산성
공산성은 백제시대 축성된 산성으로 백제 때에는 웅진성으로 불렸다가 고려시대 이후 공산성으로 불리게 되었다. 475년 한산성(漢山城)에서 웅진(熊津)으로 천도하였다가, 538년(성왕 16)에 부여로 천도할 때까지 5대 64년간의 도읍지인 공주를 수호하기 위하여 축조한 것으로, 당시의 중심 산성이었다. 해발 110m인 공산(公山)의 정상에서 서쪽의 봉우리까지 에워싼 포곡식(包谷式) 산성이며 성의 둘레는 2450m이다. 원래 토성이었는데 조선 중기에 석성으로 개축된 것이다.

공북루
공산성에서 금강을 향하여 서있는 문이다. 나루를 통하여 공산성으로 들어오는 통로였다. 공북루에 오르면 성밖으로 금강의 아름다움을 만끽 할 수 있고, 성안으로는 옛 궁터를 볼 수 있다. 이 건물은 조선시대 문루로 1663년(현종 4) 관찰사 오정위(吳挺緯)가 중수하고 송시열(宋時烈)이 중수기를 썼다. 지금의 모습은 1964년에 보수한 것이다.
진남루
공산성의 남문(南門)으로 시내에서 공산성으로 출입하는 정문이다. 원래는 토성(土城)이이었던 공산성이 조선시대에 석성을로 개축되면서 루를 만들었다. 진남루를 올라오는 계단은 돌계단인데, 진남루에서 바라보는 아랫길이 그림 속의 한 장면과 같을 정도로 예쁜 성루이다.
금서루
공산성 서쪽에 있는 문루이다. 공산성의 서쪽은 해발 110m의 공산의 능선을 따라 석축을 쌓았는데 그 중간에 팔작지붕의 문루를 세웠다. 금서루는 현재 공산성으로 출입하는 정문으로 역할하고 있으나 공산성을 복원하기 전까지는 대부분이 허물어져 있었다. 1993년 문헌의 기록를 조사하여 복원공사가 진행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보존되고 있다. 이곳이 공산성의 멋스러움을 볼 수 있는 공산성의 가장 멋진 성곽길을 볼 수 있다.

연지
연지는 공산성 내 남쪽 영은사(靈隱寺) 앞에 있는 연못터로 1982년부터 2년간 공주대학교(당시는 공주사범대학)에서 발굴하여 유적지임을 확인하였다. 단을 둔 석축을 정연하게 쌓았으며 동서 양축에 넓은 통로를 둔 것이 특징이다. 동서가 긴 평면 직사각형으로 규모는 최대 길이가 21㎝, 너비는 약 12㎝이다. 호안 석축은 단을 두어 전체적으로 위를 넓게 하고 아래를 좁게 쌓아 9층 석탑을 거꾸로 세워 놓은 듯한 형태와 흡사하다. 서쪽 호안이 남쪽으로 접한 곳에는 다듬은 돌 2개씩을 포개 쌓아 10여 개의 계단을 설치하여 출입 통로를 두었다. 이 통로를 통하면 연지의 바닥까지 출입할 수 있다. 바닥은 판석으로 깔았고 동서 9m, 남북 4m 규모이다. 연지 둘레의 동서 벽에서 북쪽 금강변 호안으로 너비 40㎝의 배수로가 설치되었고 현재도 석루두(石漏頭)가 남아 있다. 이 연지의 북쪽과 금강 호안 사이의 대지에서 정면 4개, 측면 3개의 8각 고주가 발굴되었는데, 측면 중앙에 누각으로 올라갈 수 있는 승가대석(昇架臺石)이 놓여 있는 것으로 보아 누각 건물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백제시대부터 계속하여 이용되어 왔음을 시사하고 있는 이 연지는 산성의 구조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백제의 고도 공주. 세계문화유산의 공주를 대표하는 가장 아름다운 곳이 공산성이다. 백제 때 토성으로 쌓인 이곳은 조선시대에 석성으로 축조되었다. 아름다운 금강과 낮지만 비경을 가지고 있는 공산의 아름다움을 갖고 있는 공산성은, 백제의 고도 공주시 여행에서 꼭 들르는 곳이기에, 이 아름다운 옛성 공산성에서 꼭 볼 곳을 확인하고 여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잡한 김포공항의 주차장, 주차 요금, 그리고 주차예약 시스템 (2) | 2023.09.23 |
---|---|
역사의 흔적들이 있는 김포 평화누리길 1코스 (3) | 2023.09.09 |
김포의 랜드마크, 한강중앙공원과 라베니체 (1) | 2023.09.04 |
세계문화유산 공주시, 역사와 자연을 따라 걷기 좋은 곳 베스트 5 (1) | 2023.09.04 |
공주시 걷기 좋은 길, 제민천과 그 주변 이야기 (3) | 2023.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