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내 집마련의 꿈은 멀기만 한 청년의 시기에, 결혼 후 꾸려갈 가정을 위해 전세로 집을 얻으려 할 때, 은행의 대출은 막막하고 어디 한군데 손을 벌릴 수 없을 때, 이를 지원하는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이 있습니다. 주택도시기금으로 진행되는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해 보세요.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대상
아무리 좋은 정책과 제도가 있어도 대상자가 아니라면 의미가 없죠. 이에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의 대상을 꼭 확인해 보세요.
* 소득 조건 : 부부합산 5천만원 이하(연소득) 또는 순자산가액 3.61억 이하
* 연령 및 주택유무 조건 :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의 무주택 단독세대주(예비세대주 포함)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대상 주택
기금으로 지원하는 전세자금 대출이다보니, 대상 주택을 확인하고, 이에 조건이 맞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 대상 주택 조건 : 임차보증금 3억원 이하, 임차 전용면적 85㎡ 이하의 주택(주거용 오피스텔 포함)
(쉐어하우스에 입주하는 경우, 예외적으로 먼적 제한 없음)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금리
전세 대출이 가능한지도 중요하지만, 금리도 중요하다.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의 금리가 다른 대출 금리보다 높다면 굳이 조건을 맞춰가며 대출을 받을 필요하 없다.
대출 금리 : 연 1.5% ~ 2.1%
우대 금리
우대 금리 적용 후 최종금리가 연 1.0% 미만인 경우에는 연 1.0%로 적용.
금리 우대 조건(중복 적용 불가)
연소득 4천만원 이하 기초생활수급권자 및 차상위계층 연 1.0%
연소득 5천만원 이하 한부모가구 연 1.0%
장애인, 노인부양, 다문화, 고령자가구 연 0.2%
추가 금리 우대 조건(중복 적용)
① 주거안정 월세대출 성실납부자 연 0.2%
② 전자계약 체결(2022.12.31. 신규 접수분까지) 연 0.1%
③ 다자녀가구 연 0.7%, 2자녀가구 연 0.5%, 1자녀가구 연 0.3%
④ 청년 가구(만25세 미만, 전용면적 60㎡이하, 보증금 3억원 이하, 대출금 1.5억원 이하 단독 세대주) 연 0.3%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한도 및 기간
대출 한도 : 최대 2억원 이내
대출 기간 : 최초 2년 (4회 연장, 최장 10년 가능)
* 단 주택도시보증공사 전세금안심대출 보증서 : 최대 2년 1개월(4회 연장, 최장 10년 5개월 가능)
* 최장 10년 이용 후 연장시점 기중 미성년 1자녀당 2년 추가(최장 20년 이용 가능)
참고 사항 및 상담문의
자세한 내용은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http://nhuf.molit.go.kr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담문의 : 주택도시기금 1566-9009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통해 대출금액과 금리 그리고 대출 가능여부를 알아보고, 새로운 출발에 든든한 버팀목이 되기를 바란다.
'알뜰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뱅크 모임통장, 모임원이 추가될 때마다 지원금을 주네요. (3) | 2023.09.25 |
---|---|
관계의 철학, 마틴 부버의 "나와 너(Ich und Du)" (4) | 2023.09.13 |
OTT 비교, 네플릭스, 티빙, 디지니+, 쿠팡플레이 (2) | 2023.09.12 |
네이버 멤버십을 통한, 티빙 할인 방법 (1) | 2023.09.11 |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제, 구간과 시간 범칙금 총정리 (3) | 2023.09.07 |